자산 = 부채 + {자본 + 수익 - 비용 - 배당}
재무제표 5대 천왕
- 재무상태표: 특정 시점의 회사의 건강상태를 보여주는 표
- 손익계산서: 일정 기간 동안 회사의 성적표를 보여주는 표
- 주석: 재무제표의 궁금한 점을 세부적으로 설명해주는 별책 부록
- 자본변동표: 일정 기간 동안 자본의 증감 변화를 보여주는 표
- 현금흐름표: 일정 기간 동안 회사 통장에 현금의 유출입과 잔액을 보여주는 표
재무제표의 종류
(종속기업이 있는 경우)
연결재무제표: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을 합친 재무제표
별도재무제표: 지배기업만의 재무제표
(종속기업이 없는 경우) 개별 재무제표
8차시 유동자산
- 유동자산: 1년 이내에 현금화시킬 수 있는 자산
- 유동부채: 1년 이내에 상황할 수 있는 부채
- 당좌자산: 유동자산에서 재고자산을 뺀 자산
- 유동비율: 기업의 단기유동성을 평가하는 지표
- 유동비율 = 유동자산 / 유동부채 *100 - 당좌비율: 유동비율보다 엄격하게 기업의 단기유동성을 평가하는 지표로, 유동자산 중에서 당장 현금화시킬 수 있는 자산 비율
- 당좌비율 = 당좌자산 / 유동부채 *100
9차시 재고자산
기업의 영업순환 과정
재료 - 제품 - 재공품 - 매출채권 - 현금 - 재료 …
재고자산 회전율 = 매출액 / 평균재고자산
= 매출원가 / 평균재고자산 (더 정확)
재고자산회전일수 = 365 / 재고자산회전율
10차시 매출채권
매출채권: (영업활동의) 제품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을 외상대금
*미수금: 영업활동이 아닌 거래에서 받을 돈
|——————-영업순환주기———————|
재고자산 -(판매)- 매출채권 -(회수)- 현금
|-재고자산 회전기간-| |-매출채권 회전기간-|
매출채권 회전율 = 매출액 / 평균매출채권
11차시 투자자산
투자자산: 회사가 여유자금으류 수익을 내려고 구입한 재테크용 자산 (예금, 적금, 주식, 부동산, 채권 등)
지배기업: 지분 50% 이상 또는 최대주주일 경우, 종속 기업의 자산, 부채, 자본, 매출비용이 지배기업과 연결
관계기업: 지분 50% 미만, 최대 주주 아닐 경우, 완전 지배는 못하지만 경영권 참여 가능. 지분만큼 이익 공유 가능(지분법 적용 투자수익)
12차시 유형자산
13차시 무형자산
- 무형자산: 영업활동에 필요한, 그러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 (영업권, 개발비, 소프트웨어, 산업재산권, 회원권 등)
- 연구비: 기초적인 연구 - 비용처리, 손익계산서에 비용으로 반영
- 개발비: 상품 출시를 위한 비용 - 출시 전까지의 비용은 자산 처리
- 유형자산; 감가상각: 노후화로 인한 가치 감소분 비용
- 무형자산; 상각: 사용한 시기에 따른 가치 감소
- 감가상각 = 개발비 / 존속기간
14차시 선수금
- 선수금: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미리 받은 돈. 제공하기 전까지 ‘부채’ 처리
- 선급금: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기 전에 미리 준 돈. 제공 받기 전까지 ‘자산’ 처리.
(선급금 지급 후 계약에 문제 발생시 회수 가능하기 때문)
15차시 매입채무
매입채무: 제조에 필요한 재료비 또는 외주비 등의 외상대금
*미지급금: 영업활동 외 거래에서 줄 돈
매입채무 회전율 = 매출원가 / 평균매입채무
매입채무 회전일수 = 365 / 매입채무 회전율
현금순환주기 (CCC, Cash Conversion Cycle)
= 매출채권 회전일수 + 재고자산 회전일수 - 매입채무 회전일수
16차시 차입금
차입금: 빌린 돈, 이자를 내야하는 부채
* 사채: 주식회사가 일반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회사채
- 단기차입금: 1년 이내 상환. 유동부채
- 장기차입금: 1년 이후 상환. 비유동부채; 만기가 1년 내로 도래한 장기차입금은 ‘유동성 장기차입금’으로 분류
부채비율: 남의 돈 부채와 내 돈 자본을 비교하여, 갚을 돈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는 지표. 기업의 빚을 파악하는 안정성 확인 지표
= 부채 총액 / 자본총액 *100
선수금이 부채로 분류되기 때문에, 부채비율이 높다고 무조건 나쁜 건 아님. 업계 평균 비교 및 부채 주석 확인
차입금 의존도: 이자를 내는 빚의 규모를 계산
= (장.단기 차입금 + 사채 ) / 자산 *100
17차시 자본금
자본금: 초기 투자금, 회사가 발행한 주식 액면가의 합계금액. 순자산, 자기자본.
초기 투자금 + 투자 받은 돈 + 주식 상장 돈
자본의 구성: 자본금, 이익잉여금, 자본잉여금(주식발행 초과금), 자본조정, 기타포괄손익누계액
18차시 이익잉여금
이익잉여금: 회사의 순이익의 누적금액.
* 이익의 누적금액을 숫자로 보여줄 뿐, 현금이 아님. 해당 금액은 이미 여러 곳에 나뉘어 투자된 상태이며, 기업의 현금은 재무제표에서
‘현금및현금성잔액’ 을 확인.
이익잉여금의 종류
- 법정적립금: 법령에 의해 강제로 적립하는 적립금
- 임의적립금: 정관의 규정이나 주주총회 결정대로 적립하는 적립금
- 미처분이익잉여금: 사용처를 정하지 않은 이익잉여금
결손금: 손실의 누적금액.
손실이 늘어나면 부채가 늘어나는 ‘자본잠식’ 상태가 될 수 있음
19차시 매출총이익
매출총이익: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고 남은 돈, 제품의 마진.
매출총이익률 = 매출총이익 / 매출액 *100
손익계산서 구조
매출액
(-) 매출원가
= 매출총이익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(-) 판매비와 관리비
= 영업이익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(+) 영업외수익 (기타, 금융)
(-) 영업외비용 (기타, 금융)
= 법인세차감전순이익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(-) 법인세비용
= 당기순이익
20차시 판매비와 관리비
판매비와 관리비: 영업활동과 관련된 판매비용 및 관리비용 (홍보, 판매수수료, 광고비 / 지원부서 급여, 임차료, 각종 공과금 등)
영업이익: 매출액에서 판관비를 빼고 남은 돈, 영업해서 남은 돈
- 영업이익률: 회사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지표
= 영업이익 / 매출액 *100
21차시 영업외수익
- 영업외 수익: 영업활동이 아닌 투자나 다른 활동으로 번 돈 (이자수익, 주식 배당금, 임대수익 등)
- 영업외 비용: 영업활동이 아닌 투자나 다른 활동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비용 (자산처분에 따른 손실, 이자비용 증가 등)
22차시 이자보상배율
이지보상배율: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낼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지표
= 영업이익 (또는 영업손실) / 이자비용
좀비기업(한계기업): 돈은 벌지만, 남는 돈이 이자비용보다 적은 상태가 3년 이상 지속 시 해당
23차시 당기순이익
당기순이익: 회사가 최종적으로 손에 쥐는 몫, 세후이익
당기순이익률 = 당기순이익 / 매출액 *100
; 기업의 전체적인 능률 파악 가능
ROE (Return on Equity)
: 기업의 시장가격이 1년 간 번 순이익의 몇 배인지 확인하는 지표
PER (Price Earning Ratio)
: 기업의 시장가격이 기업 순자산의 몇 배인지 확인하는 지표
24차시 수익성과 성장성
스타트업의 기업가치
- 유니콘 기업: 기업 가치 10억 달러(1조) 이상, 설립 10년 이하의 스타트업
- 데카콘 기업: 기업 가치 100억 달러(10조) 이상
- 헥토콘 기업: 기업 가치 1000억 달러 (100조) 이상
기업의 수익성 확인 지표
- 매출총이익률
- 영업이익률
- 당기순이익률
- 자기자본이익률 = 당기순이익 / 평균 자기자본 *100
기업의 성장성 확인 지표
- 매출 증가율
- 영업이익 증가율
- 유형자산 증가율
- 총자산 증가율
28차시 투자기술 ROE
ROE (자기자본순이익률, Return on Equity)
: 주주의 돈으로 얼마를 남겼는지 보여주는 주주의 투자수익률. ROE 15% 이상의 기업에 투자하라!
= 당기순이익 / 평균자기자본 *100
ROA (총자산순이익률, Return on Asset)
: 전체 자산으로 얼마를 남겼는지 보여주는 경영자의 투자수익률. 기업의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가늠하는 지표.
=당기순이익 / 평균자산 *100
- 초기 투자비용이 큰 업종(정유, 철강 등)은 서비스업에 비해 ROA가 낮음.
29차시 기업가치 평가의 비밀병기, PER와 PBR
PER (주가이익비율)
: 기업의 시장가격이 기업이 1년간 번 순이익의 몇 배인지 확인하는 지표
= 1주당 가격 / 1주당 순이익(EPS)
- 주당순이익(EPS, Earning per Share) = 순이익/주식발행수
기대수익률 = 1 / PER *100
(투자시, 기대 수익률을 시중 연금리와 비교)
PBR (주가자산비율)
: 기업의 시장가격이 기업 순자산의 몇 배인지 확인하는 지표
= 1주당 가격 / 1주당 순자산 가치(BPS)
- 주당순자산가치(Bookvalue per Share) = (보유자산 - 부채) / 주식발행수
- 가치주: PBR 이 1 이하로, 기업의 순자산보다 주식가격이 싼 기업의 주식
'부자부자 이야기 > 공부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공부공부] 2월 22일 리얼클래스 - 제가 잘못했어요! 인정하기 (0) | 2023.02.22 |
---|---|
[공부공부] 2월 21일 리얼클래스 - 제 생각은 달라요! 반대하기 (0) | 2023.02.21 |
[공부공부] 2월 20일 리얼클래스 - 그럴 수도 있지! 격려하기 (0) | 2023.02.20 |
[공부공부] 고독 - 엘라 휠러 윌콕스(Ella Wheeler Wilcox) (1883) (0) | 2023.02.13 |
[공부공부] 천원의 뒷면 - 정선의 '계상정거도(溪上靜居圖)' (0) | 2023.02.04 |